반응형

2. KFD 채점체계

 1) 번스의 채점체계

  KFD에서 그려진 그림의 '활동 내용', '스타일', 그리고 '상징'을 채점 및 분석하고자 할 때는 KFD 모눈종이와 분석용지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1) 모눈종이: 1mm 간격의 트레싱 페이퍼로 만들어진 KFD 모눈종이는 KFD 자료를 분석하고 측정하는데 유용하게 쓰이며, 모눈종이는 그려진 인물들의 크기나 위치, 거리를 쉽게 측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아동이 그린 인물들 간의 크기나 거리를 통해 가족 간의 유대감, 우월감, 열등감, 친밀감 등을 파악할 수 있다.

   (2) 분석용지: 그려진 그림의 자료를 요약하고 기록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분석용지는 '활동 내용'과 '스타일', '상징'을 총체적으로 요약할 수 있게 해주고, 부분적으로 수량화시킬 수 있게 해주는 측면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임상연구에 유용하다. KFD 검사의 모눈종이가 객관적이고 수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다른 점이다.

 2) 레이톤의 KFD 채점기준

  레이톤의 채점기준에서는 KFD의 각 특징을 157개 항목에 대해 '그렇다 또는 아니다'로 채점한다. 예를 들어, 자기상이 그림에서 생략되어 있다면 자기상이 생략되어 있는 경우에 채점할 수 있는 0이 항목에 해당된다. 많은 항목들이 비교적 정확히 평가될 수 있지만 항목에 해당되는지의 여부가 확실하지 않을 때는 채점하지 않는다.

   (1) 가족구성원: 가족화 그림에 그려져 있는 사람과 생략된 사람을 확인한다. 그러나 생략된 가족구성원이 1) 가족의 생계를 위해 멀리 떠나 있는 경우, 2) 다른 지역에서 학교를 다니고 있는 경우, 3) 이혼 때문에 가족에서 분리된 경우, 4) 시설에 수용된 경우, 5) 다른 친척의 보호를 받고 있는 경우는 채점하지 않는다. 때문에 검사자는 특정 가족구성원이 생략되었을 때 사후질문 단계에서 관련한 질문을 해야 한다. 때로는 아동은 특정 구성원의 인물상을 그리지 않고 그 인물상이 어떤 것의 안에 있거나 뒤에 있다고 주장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도 구성원이 생략된 것으로 간주한다. 종이 뒷면에 인물을 그린 경우도 생략으로 채점한다.

   (2) 인물상의 크기: 인물상이 앉아 있거나 가구와 함께 그려져 있어서 전체 크기를 측정하기가 곤란할 때는 1) 신체의 중간선을 따라 측정, 2) 구부러진 인물상은 대각선으로 측정, 3) 오직 그려진 부분만 측정(발이 생략된 경우 발가락이 있을 것 같은 위치를 짐작하여 측정하지 않음)한다는 원칙을 따른다.

   (3) 거리: 모든 인물상이 서로 다른 구성원들로부터 먼 거리에 있도록 그려진 경우(모든 인물상들이 그 옆에 그려진 인물상으로부터 신장 높이 이상으로 떨어진 거리에 있을 경우 이 항목으로 채점), 자기상이 다른 것에 겹쳐져 있는 경우(인물상이 다른 사물이나 인물상의 안쪽에 겹쳐져 있거나 뒤에 숨겨져 있는 경우 또는 포위되어 있는 것으로 그려진 경우 이 항목으로 채점), 다른 인물상들이 겹쳐진 경우(겹쳐진 양상이 위에서 채점된 것과 같으면 별도로 채점하지 않음), 직선 거리상에서 자기상이 고립되어 있는 경우, 지면을 사등분 하였을 때 자기상이 고립되어 위치해 있는 경우, 자기상이 다른 수평면에 위치해 있는 경우(자기상이 다른 인물상들과 다른 직선상에 위치해 있다면 이 항목으로 채점), 자기상과 어머니상이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어머니로부터 두 개의 사등분에 위치하도록 그려진 자기상, 자기상과 아버지상이 가장 멀리 떨어져 있도록 그려진 경우, 아버지로부터 두 개의 사등분에 위치하도록 그려진 자기상, 직선 거리상에서 어머니상이 고립되어 있는 경우, 지면을 사등분 하였을 때 어머니상이 고립되어 위치해 있는 경우, 어머니상을 다른 종이에 그린 경우, 직선 거리상에서 아버지상이 고립되어 있는 경우, 지면을 사등분 하였을 때 아버지상이 고립되어 위치해 있는 경우, 아버지상을 다른 종이에 그린 경우 등

   (4) 물리적 경계: 구획화, 자기상의 포위(자기상을 선 또는 다른 인물상으로 둘러싸거나 캡슐 안에 있는 것처럼 그릴 때 이 항목으로 채점), 어머니상의 포위, 아버지상의 포위, 다른 인물상의 포위, 자기상과 어머니상 사이의 경계(두 인물상 사이에 나무, 난로, 가구 또는 자동차, 벽 등이 위치해 있을 때 이 항목으로 채점), 자기상과 아버지상 사이의 경계, 아버지상과 어머니상 사이의 경계, 다른 인물상 사이의 경계

   (5) 방향: 자기상의 회전(인물상이 45도 이상 회전되어 그려진 경우 이 항목으로 채점), 어머니상의 회전, 아버지상의 회전, 다른 인물상의 회전, 모든 인물상의 회전(인물상들의 수직축이 종이의 수직축으로부터 15도 이상 기울어졌다면 이 항목으로 채점), 다른 인물상들에 대해 등을 보인 자기상 또는 어머니상, 다른 인물상들에 대해 등을 보인 자기상 또는 아버지상, 다른 인물상들에 대해 등을 보인 아버지상 또는 어머니상, 표정이 가려진 자기상(관찰자에게 등을 보이고 있거나 신문지 또는 책에 얼굴이 숨겨져 있는 경우 이 항목으로 채점), 표정이 가려진 어머니상, 표정이 가려진 아버지상, 표정이 가려진 다른 인물상들

   (6) 내용: 왜곡이나 기괴함(내용이 기괴하거나 괴물을 그리거나 생식기가 드러난 인물과 같이 부적절한 그림을 그릴 때 이 항목으로 채점), 싸움이나 논쟁 또는 폭력의 묘사(폭발, 맹공격하는 비행기, 총, 폭탄, 날카로운 칼이나 창 등을 그리는 경우 이 항목으로 채점), 비애, 절규 또는 불만의 묘사(얼굴을 찡그린 채 입을 아래쪽으로 향하고 있어 비애 또는 불만이 강하게 나타나는 경우 이 항목으로 채점), 비전형적인 가정의 모습(우주 생활이나 로켓 여행 등의 환상적 장면이나 바다 밑 장면 등이 그려진 경우 이 항목으로 채점), 분산된 행위들(인물상들이 활동을 공유하지 않거나 공유된 목적 아래 서로를 향하고 있는 것으로 그려지지 않았을 경우 이 항목으로 채점, 그러나 각 인물상이 분산된 활동을 하고 있지만 한 장소에서 서로 소통하는 내용이 표현되어 있다면 이 항목으로 채점하지 않음), 분산된 관심사, 가족 또는 가족생활과 무관한 언어적 메시지, 자기상이 위험 또는 곤란에 처해 있는 경우(자기상이 나무에 매달려 있거나 받침이 불안정한 사다리의 꼭대기에 서 있거나 차도에 있는 경우 이 항목으로 채점), 어머니상이 위험 또는 곤란에 처해 있는 경우, 아버지상이 위험 또는 곤란에 처해 있는 경우, 다른 인물상이 위험 또는 곤란에 처해 있는 경우

   (7) 상동형: 남성/여성 차이가 없게 그려진 경우(막대기상으로 그리거나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기 어렵게 그린 경우 이 항목으로 채점하며, 다른 부분은 동일하되 머리카락 처리에서만 차이를 보인다거나 여성은 삼각형 몸통으로, 남성은 타원형 몸통으로 그린 경우와 같이 최소한의 차이만 존재하는 경우도 이 항목으로 채점. 단, 드레스나 원피스를 입고 있는 여성과 같이 옷의 특징을 통해 성별을 표현하였다면 이 항목으로 채점하지 않으며, 여성의 가슴과 같이 2차 성징의 특징이 표현된 그림 또한 이 항목으로 채점되지 않음), 수의적 운동능력의 결여(인물상을 활동적으로 그리도록 지시하였음에도 정면을 바라보고 서 있는 그림을 그렸다면 이 항목으로 채점), 대상 또는 장면에서의 운동 마비

   (8) 신체 왜곡: 모든 인물상에서 신체 부분의 통합이 빈약한 경우, 자기상에서 신체 부분의 통합이 빈약한 경우, 어머니상에서 신체 부분의 통합이 빈약한 경우, 아버지상에서 신체 부분의 통합이 빈약한 경우, 다른 인물상에서 신체 부분의 통합이 빈약한 경우, 모든 인물상에서 사지의 불균형이 심한 경우(팔이나 다리 한쪽이 다른 쪽과 모양이 크게 다른 경우 이 항목으로 채점), 자기상에서 사지의 불균형이 심한 경우, 어머니상에서 사지의 불균형이 심한 경우, 아버지상에서 사지의 불균형이 심한 경우, 다른 인물상에서 사지의 불균형이 심한 경우, 모든 인물상에서 얼굴, 신체, 사지, 손, 목에 음영이 나타난 경우, 자기상에서 얼굴, 신체, 사지, 손, 목에 음영이 나타난 경우, 어머니상에서 얼굴, 신체, 사지, 손, 목에 음영이 나타난 경우, 아버지상에서 얼굴, 신체, 사지, 손, 목에 음영이 나타난 경우, 다른 인물상에서 얼굴, 신체, 사지, 손, 목에 음영이 나타난 경우, 모든 인물상이 투시적으로 그려진 경우(투시된 부분이 신체 또는 사지의 주요 부분으 포함한다면 이 항목으로 채점), 자기상이 투시적으로 그려진 경우, 어머니상이 투시적으로 그려진 경우, 아버지상이 투시적으로 그려진 경우, 다른 인물상이 투시적으로 그려진 경우, 모든 인물상에서 팔이 짧게 그려진 경우(팔이 허리선에 닿지 않을만큼 짧게 그려진 경우 이 항목으로 채점), 자기상에서 팔이 짧게 그려진 경우, 어머니상에서 팔이 짧게 그려진 경우, 아버지상에서 팔이 짧게 그려진 경우, 다른 인물상에서 팔이 짧게 그려진 경우, 모든 인물상에서 팔이 길게 그려진 경우, 자기상에서 팔이 길게 그려진 경우, 어머니상에서 팔이 길게 그려진 경우, 아버지상에서 팔이 길게 그려진 경우, 다른 인물상에서 팔이 길게 그려진 경우, 모든 인물상에서 손이 크게 그려진 경우(손이 인물상의 얼굴만큼 또는 그 이상으로 크게 그려진 경우 이 항목으로 채점), 자기상에서 손이 크게 그려진 경우, 어머니상에서 손이 크게 그려진 경우, 아버지상에서 손이 크게 그려진 경우, 다른 인물상에서 손이 크게 그려진 경우손이 생략된 경우, 모든 인물상에서 손이 생략된 경우(팔에 손과 손가락이 모두 없는 경우 이 항목으로 채점), 자기상에서 손이 생략된 경우, 어머니상에서 손이 생략된 경우, 아버지상에서 손이 생략된 경우, 다른 인물상에서 손이 생략된 경우 등

   (9) 건강 척도: 부모가 함께 그려진 경우(두 인물상 사이에 다른 사람이나 경계, 벽, 포위, 구획 등이 없다면 이 항목으로 채점하며 인물상들 간의 거리는 최소한 인물상의 신장보다는 가깝게 그려져야 함), 부모가 사등분 된 지면의 한 면에 함께 그려진 경우(아버지상과 어머니상 사이에 다른 인물상이나 다른 사물이 있어도 이 항목으로 채점), 아버지상과 어머니상의 크기가 같거나 아버지상이 더 큰 경우, 자기상보다 부모상의 크기가 더 큰 경우, 자기상이 적절한 크기로 그려진 경우(나이 어린 아동이 나이 많은 아동보다 더 크게 그려진 경우는 이 항목으로 채점하지 않음), 자기상을 어머니상과 유사하게 그린 경우(여아일 때 머리 모양이나 옷 모양 등에서 부모와 유사하게 그린 경우 그리고 두 인물상 간에 신체적 자세가 유사한 경우 이 항목으로 채점), 자기상을 아버지상과 유사하게 그린 경우(남아일 때 머리 모양이나 옷 모양 등에서 부모와 유사하게 그린 경우 그리고 두 인물상 간에 신체적 자세가 유사한 경우 이 항목으로 채점), 자기상과 어머니상 간에 활동 내용이 유사하거나 특정 활동을 공유하고 있는 경우, 자기상과 아버지상 간에 활동 내용이 유사하거나 특정 활동을 공유하고 있는 경우 등

반응형

+ Recent posts